위상수학 첫걸음 (Fred H. Croom 저, 한빛 아카데미, 2023) 한국어판 감수자 머릿말

고등과학원 수학부 김상현


수학의 본질은 자유함에 있다. - 게오르그 칸토어 (1845-1918)

수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많은 학생에게 있어서, 아마도 위상수학 과목은 첫번째 만나는 추상성 훈련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전에 듣는 많은 과목, 예를 들어 선형대수학이나 복소해석학에서 학생은 (number)라는 분명한 대상의 성질을 다루게 된다. 조금더 추상적인 고차원 미분기하학을 공부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학생은 공간 안의 거리에 대한 많은 수학적 계산을 보면서 주어진 수학적 구조의 실체를 체감해 가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위상수학 과목은 분명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 거리, 모양도 없는 위상공간에 아주 제한된 개의 공리만을 이렇게저렇게 조합하여서 수많은 결과를 얻어내고 있다. 유클리드 역시 그의 원론에서 다섯 개의 공리만을 조합하여 많은 결과를 얻어낸 것이 사실이지만, 적어도 책에서는 , , 면과 같은 직관적인 대상을 다루었고, 이들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려는 명확한 목표가 있었다. 반면 위상수학의 공리들은 생소하고, 우리의 손을 묶어 아주 제한된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하는 같다.

그리고 책에서 다루는 위상공간의 많은 결과들은 형태를 머리에 떠올리기 어려운 어마어마하게 공간에까지 적용된다. 그러한 공간은 직선일 수도 있고, 무한차원일 수도 있고, 함수들의 집합일 수도 있고, 어떤 때에는 공간들로 이루어진 공간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를 어떻게 체감하여야 습득할 있을까?

간단하게 말하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는 노력이 답이 아닐까 생각한다. 새로운 개념이 있다면, 개념이 적용되는 간단하면서도 특성을 잡아내는 그림을 매번 노트에 그려 보는 것이다. 물론 종이에 그려진 그림은 완벽하진 않지만, 마음으로만 있는 그림의 제법 괜챦은 그림자가 있다.

수학을 공부하는 과정은 그림이나 악기를 배우는 것과 비슷한 면이 있다. 풀이를 한번 이해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손으로 연습해보고 여러가지 변형을 혼자 풀어보면서 정의는 (거의) 필연적으로 이렇게 해야 하는지, 정리는 얼마나 강력한지 체득해 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붓과 악기를 자주 잡아야만 실력이 있다.

책에서도 많은 부분을 할애하여 이런 마음의 그림을 전달하고자 하고 있다. 논리학적으로 필수적인 정의와 정리만을 담았다면 길이가 반의반도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책에서는 논리적으로는 굳이 필요 없는 많은 예제와 연습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칸토어, 하우스도르프, 푸앵카레와 같은 수학적 거인들의 마음 속에 떠올랐던, 숨막히게 아름다운 바로 그림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연습을 통하여 독자가 위상수학의 그림을 마음 속에 그릴 있게 된다면, 이제 위상수학의 공리들은 독자의 손을 묶는 억압이 아니라 오히려 독자에게 무한한 상상을 허락하는 물감과 악기가 것이다.